2017년 4월 4일 화요일

3-011-01 Nursing order in ER

3-011-01 Nursing order in ER


보통 ‘routine lab’ 등으로 부르는 묶음 검사를 시작하게 된다. OCS를 사용하므로 (주관식 시험 대신에 객관식 답안을 고르는 기분으로) 쉽게 검사지시를 할 수 있다. 병원 마다 다르기는 하지만 CBC chemistry profile UA chest PA 기본 검사에 coagulation profile이 기본 검사를 구성한다 op. 예정이거나 외과계 입원이 예상되는 경우 transfusion study viral marker가 추가된다. 그밖에 OS에서 RA, 간담도계에서 bilirubin, 순환기계에서 lipid profile 등을 추가하는 식으로 routine lab이 구성된다.
응급센터에서는 검사를 나가는 기준을 넓게 잡는 것이 좋다. Fever, fatigue, general myalgia 등의 증상에 CBC, LFT를 확인 할 필요가 있다. 또한 dyspnea를 호소하는 경우 D-dimer, BNP, FDP, fibrinogen 등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Mental change high blood sugar의 경우 serum osmolality 를 추가한다. Mental change, undefined nausea, poor oral intake, poor hygiene 의 경우 acidosis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반드시 artery를 천자하는 것보다는 처음 채혈시 정맥혈가스검사 venous blood gas analysis routine check하는 것이 좋다. (인턴잡이 아니라서 그렇겠지)  Troponin 은 남용되는 경향이 있으나 배꼽 이상 부위의 통증, 45세 이상, bed ridden, chest trauma 에서 routine 으로 나가는 경향이 있다. Stool, gastric juice, sputum 에서 RBC check 할 수 있으며, 상세미상 액체의 중독된 경우 UA를 내보내면 pHcheck 할 수 있다.
미생물 동정을 위한 배양은 물론 결과가 나오기 까지 많은 시간이 걸린다. 병원에 따라 Tb PCR이나 gram stain 결과가 즉시 나오기도 한다. Chemistry 검사의 경우 원심 분리 시간인 5분이  주된 소요 시간이며 나머지는 검사자가 수기로 하는 작업이다. 따라서 결과를 매번 몸으로 독촉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결과가 늦게 나오는 검사의 시행시는 F/U의 계획을 먼저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입원이 예상되는 경우는 chest PA를 같이 처방하거나, 설수 없는 경우, 상태가 Unstable하여 검사실에 보낼 수 없는 경우에는 portable로 처방한다. 통상 기립이 가능한 경우는 chest PA 와 함께 Lt lat view를 추가하고 기립이 불가능한 경우는 chest AP(sitting), abdomen Rt decubitus 를 지시한다.
영상 검사에서 예측하지 못했던 진단적 단서를 얻는 경우가 많다. Chest PA, neck soft tissue, brain-chest-abdomen CT의사로서 표준적으로 주의를 기울일 의무라고 해석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시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항상 설명과 charting 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수기처방일 경우 흔한 예는,
CBCcD PT&APTT
E` TCO2 BUN Cr AST ALT T-bil T-prot Alb Glc
UAcM gram S&Cx,urine, u-hCG
1. ESR CRP blood Cx
2. amylase lipase LD S-osm iCa++ Mg++
3. D-bil rGT ALP HAVIgM HBsAg/Ab antiHCVAb
4. myoglobin cTnI CK-MB CK NT-proBNP / POCT
sputum : Gram S&Cx AFB S&Cx cytology

ANEMIA : reticulocyte, PBS, serum iron, ferritin, TIBC, vit.B12, folate
        LD, serum haptoglobin, d/Icomb test, stool occult blood, DRE/L-tube irri.
        Plasma Hb, D-bil, hemosiderin,urine, Hb,urine

CSF 1,chemistry,immune 2,microbiology 3,cell count
Lactate : meinigitis, CK/LDH traumatic, IgG VDRL
Latex agg/ELISA : bacteria, viral, fungal, Tbc, amebic, crypto
Tap:   CC/DC glc prot/alb ADA/LD GramS&Cx AFBS&Cx
-serum, glc ADA/LD prot/alb amylase/lipase CEA
Thora: Tbc-PCR cytology/CEA T-chol T-bil pH lactate amylase RF/ANA
Para:  amylase lipase ALP T-chol lactate BUN/Cr ammonia T-Bil cytology(100cc이상)
        CEA/CA-125
Synovial: CC/DC glc prot/alb ADA/LD crystal exam GramS&Cx AFBS&Cx/Tb-PCR

        RF ANA C4 C3



Correspondence to er@ermap.info This page is mirroring for http://ERmap.info

진료지침; 응급의학, 응급의학과, 응급실, 응급센터, 인턴인계장, 가이드라인, ER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emergency medicine, emergency medicine department, Emergency room, emergency medical center

댓글 없음:

댓글 쓰기